AI 오케스트레이션과 AI 애그리게이터: 무엇이 다를까?

인공지능(AI)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AI 관련 용어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AI 오케스 트레이션’과 ‘AI 애그리게이터’는 서로 비슷해 보이지만 중요한 차이점을 가진다. 두 개념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AI 오케스트레이션과 AI 애그리게이터: 무엇이 다를까?

SKT의 에이닷이 4.0으로 업그레이드 됐다. 에이닷 4.0은 에이전틱 워크플로우를 구현하면서 이용자의 요청을 분석한 후 가장 적절한 하위 에이전트에 연결하는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AI 오케스트레이션이란? 

AI 오케스트레이션은 여러 인공지능(AI) 기술과 시스템을 하나로 묶어 잘 작동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마치 오케스트라의 지휘자가 여러 악기를 조화롭게 이끌어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듯이, AI 오케스 트레이션은 다양한 AI 구성 요소들이 서로 협력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더 큰 목표를 달성하도 록 돕는다. 이는 AI 시스템이 처음 만들어지는 순간부터 마지막까지 모든 과정을 매끄럽게 만들고 AI가 해야 할 일들을 자동으로 처리하며 필요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해 결하는 역할을 한다. 

AI 애그리게이터란? 

AI 애그리게이터는 다양한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한곳에 모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중앙 집중식 플랫폼이다. 이는 이용자가 여러 AI 도구를 개별적으로 찾아다닐 필요 없이, 한 곳에서 다양한 AI 기 능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AI 애그리게이터는 단순히 AI 도구들을 모아놓은 디렉토리를 넘 어, 이들을 큐레이션하고 이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제공하여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여러 AI 도구를 한데 모아 보여주고 접근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AI 오케스트레이션과 AI 애그리게이터 비교 

구분 

AI 오케스트레이션 

AI 애그리게이터

핵심 

역할

여러 AI 구성 요소를 유기적으로 조율하고 관리하여 하나의 복잡한 AI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한다.

다양한 AI 도구와 서비스를 한곳에 모아 사용 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한다.

목표

AI 시스템의 효율성, 확장성, 성능 최적화, 안정성 향상 등 시스템 운영 및 관리에 중점을 둔다.

이용자가 다양한 AI 도구에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인다.

작동 

방식

AI 모델, 데이터 파이프라인, 컴퓨팅 자원 등을 통합 하고 자동화된 워크플로우를 통해 지휘한다.

여러 AI 서비스의 API를 연결하여 단일 플랫폼에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초점

AI 시스템 내부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프로세스 관리 에 초점을 맞춘다.

외부의 다양한 AI 도구들을 모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비유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각 악기들의 연주를 조율하 여 하나의 곡을 완성)

백화점 (다양한 브랜드의 상품을 한곳에 모 아 판매)

AI 기술과 이용자의 거리를 가깝게 한다 

AI 오케스트레이션과 AI 애그리게이터는 모두 AI 기술의 활용을 돕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그 역할과 초점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AI 오케스트레이션은 복잡한 AI 시스템의 내부 구성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조율하고 관리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반면 AI 애그리게이터는 여러 AI 도구와 서비스를 한곳에 모아 이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함으로써 AI 기술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두 개념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AI 기술이 더욱 발전함에 따라 이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