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와 해시태그, 어떻게 사용할까

태그와 해시태그는 같은 듯 보이지만 목적과 효과가 전혀 다르다. 태그는 블로그와 웹사이트에서 SEO와 정보 분류를 돕고, 해시태그는 소셜 미디어에서 확산과 참여를 촉진한다. 플랫폼별 최적 전략을 익히고 지속가능한 태깅 원칙을 적용하면 검색 엔진과 SNS에서 더 높은 도달률과 참여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서관처럼 정돈된 태그와 실시간 확산을 상징하는 해시태그를 대비해 표현한 일러스트로, 블로그 SEO와 소셜 미디어 태깅 전략을 한눈에 보여주는 대표 이미지

디지털 콘텐트의 홍수 속에서 내 콘텐트가 빛을 발하려면 태그를 제대로 매겨야 한다. 특히 태그와 해시태그는 비슷해 보이지만 그 역할과 목적이 전혀 다르므로 이 두 가지를 구분하고 플랫폼 특성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첫 번째 명제. 내 블로그 글 해시태그는 어떻게 달지? 홈페이지 해시태그 많이 쓰는 게 좋다던데? 이 두 가지 질문은 틀렸다. 

1. 태그와 해시태그, 그 본질적인 차이: 콘텐트 분류의 핵심

태그와 해시태그는 디지털 콘텐트를 분류하고 검색을 돕는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작동 방식과 목적, 어떤 플랫폼을 쓰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존재다. 이 둘의 차이를 먼저 이해해야 콘텐트 도달률과 검색 효율성을 높이는 첫 걸음을 내딛을 수 있다. 

해시태그(#): 광장에서의 외침, 실시간 소통의 도구

해시태그는 주로 인스타그램, 트위터, 틱톡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사용한다. 특정 주제나 키워드를 사용해  콘텐트를 확산하는 역할을 한다. 해시태그는 불특정 다수에게 콘텐트를 노출하고 트렌드를 형성하며 바이럴 효과를 내는 데 목적이 있다. 

해시태그는 2007년 8월 23일 크리스 메시나(Chris Messina)가 트위터에서 "how do you feel about using # (pound) for groups. As in #barcamp?" (1) 라는 트윗을 쏘면서 시작됐다. 해시태그는 쉽게 발견할 수 있어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끼리 발견하기 쉽다.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트렌드를 반영하고 이용자들이 특정 이벤트나 이슈에 대한 대화에 쉽게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일반 태그: 서재 정리 시스템, 검색 엔진 최적화의 기반

일반 태그는 블로그, 웹사이트,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에서 콘텐트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보관하는 데 사용한다. 일반 태그의 주된 목적은 콘텐트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이용자가 특정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마치 도서관의 책을 분류하는 시스템 같다. 

일반 태그는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태그 자체는 직접적인 SEO 랭킹 요소가 아니지만, 이용자 경험 개선을 통해 간접적으로 SEO 효과를 가져온다(5). 또한 일반 태그는 콘텐트 주제를 명확하게 해 관련 콘텐트를 묶어 보여주거나 이용자가 관심있는 주제를 더 탐색하도록 돕는다. 

2. 플랫폼별 최적의 태깅 전략: 콘텐트 맞춤 가이드

각 플랫폼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도록 태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콘텐트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동일한 콘텐트라도 플랫폼에 따라 태그와 해시태그의 활용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

블로그 및 웹사이트(네이버,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등): SEO를 위한 태그 활용

블로그나 웹사이트에서는 일반 태그를 활용하여 콘텐트의 주제를 명확히 하고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강화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본문 내용과 밀접하게 관련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5~7개 이내의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블로그 본문 내에서는 해시태그를 남발하기보다는 자연스러운 문장 속에 키워드를 배치하는 것이 검색에 더 유리하다. 이는 검색 엔진이 해시태그보다는 본문의 키워드와 태그 기능을 통해 콘텐트를 인식하기 때문이다.

또한 태그는 일관된 네이밍 룰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며 너무 세분화하기보다는 적절한 추상화를 통해 관련 콘텐트를 효과적으로 묶는 것이 좋다. Google Search Central Blog에서 최신 SEO 가이드라인을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Google Search Central Blog는 검색 알고리즘의 최신 업데이트, 새로운 검색 기능, SEO 모범 사례를 발표하는 플랫폼이다. 여기서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 Search Console 업데이트, 코어 웹 바이탈 및 페이지 경험과 관련된 내용을 종종 다룬다. 구글은 스팸 및 저품질 콘텐트를 줄이고 유용한 정보를 우선 노출하기 위해 품질 순위 향상과 스팸 정책 을 개선하는 쪽으로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6).

구글 SEO의 핵심은 결국 이용자에게 유용한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다. 구글 권장하는 최적의 SEO 전략은 단순한 키워드 맞추기보다는 경험(Experience), 전문성(Expertise), 권위(Authority), 신뢰(Trust) - 흔히 이를 E‑E‑A‑T라고 부른다 -  개념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설계하는 것이다. 특히 E‑E‑A‑T는 단순한 순위 요소가 아니라 전체 브랜드 전략과 연결되며, 안전한 HTTPS 사용 등의 기술적 요소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소셜 미디어 (인스타그램, 트위터, 틱톡 등): 눈에 잘 띄는 해시태그 전략

소셜 미디어의 해시태그는 콘텐트를 쉽게 노출하고 더 많은 이용자에게 도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인스타그램은  공식적으로는 3~5개 해시태그 사용을 권장한다. 오히려 해시태그 보다는 위치 태그나 사람 태그와 같은 부가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알고리즘이 콘텐트를 더 정확하게 분류하고 노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트위터는 1~2개의 해시태그가 최적이며, 해시태그가 포함된 트윗은 포함되지 않은 트윗 대비 참여도가 2배 높다(4). 

3. 올바른 태깅이 가져오는 실제 효과: 데이터로 확인하는 성과

구글은 태그 자체를 SEO 랭킹 요소로 보지 않는다. 그러나 태그가 관련 글들을 잘 묶어주는 내부 링크 허브 역할을 하면 크롤러가 사이트 구조와 주제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 간접적으로 도움이 된다. 반대로 의미 없는 태그를 남발하면 얇은 페이지(thin page: 검색엔진이 가치가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페이지)를 양산해 전체 품질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태그는 최소한으로 일관성 있게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고리는 사이트의 뼈대, 태그는 보조 라벨로 역할이 다르다.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주제 허브를 만들고, 태그는 교차 탐색을 지원하는 보조 수단으로 쓰는 것이 SEO에 유리하다. 체계적으로 태그를 운영하면 이용자가 더 오래 머무르고 더 많은 글을 탐색하게 되어 직접적인 순위 요소는 아니더라도 외부 링크나 공유 증가 같은 간접 효과로 검색 엔진에 긍정적인 신호를 줄 수 있다.

SNS 도달률 및 참여도 향상: 검증된 수치로 확인하는 효과

소셜 미디어에서는 팔로워 수에 따라 해시태그가 다른 효과를 보인다. 5,000명 미만 팔로워를 가진 계정의 경우 해시태그 사용 시 36% 도달률 증가 효과를 보였다(2). 또한 해시태그가 포함된 인스타그램 게시물은 해시태그가 없는 게시물 대비 12.6% 더 높은 참여도를 기록했다.

트위터에서 관련있는 해시태그를 사용할 경우 리트윗 확률이 5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이는 해시태그가 새로운 사용자들에게 콘텐트를 발견하게 하고, 관심사를 기반으로 한 커뮤니티 형성을 돕기 때문이다.

블로그 태그의 SEO 효과: 간접적이지만 중요한 영향

블로그에서의 일반 태그는 직접적인 SEO 랭킹 요소는 아니지만 이용자 경험을 개선하면서 간접적 효과를 낸다(5). 카테고리가 태그보다 SEO에 더 유리하며 체계적으로 태그를 사용하면 사이트 내 체류 시간 증가로 이어져 검색 엔진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낸다.

4.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태깅 원칙: AI 시대에도 변치 않는 가치

디지털 환경은 끊임없이 변하지만 콘텐트의 가치를 높이고 이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태깅의 기본 원칙은 변하지 않는다. AI 시대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지속가능한 태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명확성: 애매모호한 태그나 해시태그보다는 콘텐트의 핵심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구체적인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여행'보다는 '제주도 가족 여행'과 같이 구체적인 태그가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더 부합하며, 검색 엔진이 콘텐트를 더 정확하게 분류하는 데 도움을 준다.

관련성: 태그와 해시태그는 반드시 콘텐트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야 한다. 인기 있는 키워드라고 해서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콘텐트의 내용과 일치하는 태그를 사용하여 사용자와 검색 엔진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일관성: 한 번 정한 태깅 룰은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서울 맛집'과 '서울맛집'을 혼용하기보다는 하나의 형태로 통일하여 사용하는 것이 검색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적절성: 각 플랫폼의 특성과 목적에 맞는 태깅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블로그에서는 일반 태그를 통한 SEO에 집중하고, 소셜 미디어에서는 해시태그를 통한 발견성과 확산에 집중하는 것이 현명한 전략이다.

출처 

  1. Chris Messina의 첫 해시태그 제안 트윗 (2007.08.23): CNN Money. "The Twitter #hashtag is 10 years old"
    https://www.youtube.com/watch?v=ayCUoeu9B1s
  2. Search Logistics. (2025). "Hashtags Statistics: Should You Use Hashtags In 2025?" - 팔로워 수별 도달률 증가 데이터 https://www.searchlogistics.com/learn/statistics/hashtags-statistics/
  3. Later. (2024). "Instagram Hashtags 2025: Data-Driven List of the Most Used & Trending Tags" - 해시태그 개수별 성과 분석 https://later.com/blog/ultimate-guide-to-using-instagram-hashtags/
  4. Search Logistics. (2025). "Hashtags Statistics: Should You Use Hashtags In 2025?" - 트위터 해시태그 효과 데이터 https://www.searchlogistics.com/learn/statistics/hashtags-statistics/
  5. Alison K Consulting. (2025). "Keywords vs Hashtags vs Tags vs Categories: What Matters for SEO" - 블로그 태그 SEO 효과 분석 https://alisonkconsulting.com/keywords-hashtags-tags-categories-seo/
  6. New ways we’re tackling spammy, low-quality content on Search (2024)  https://blog.google/products/search/google-search-update-march-2024/?utm_source=chatgpt.com
  7. MeetEdgar. (2025). "Are hashtags still relevant in 2025?" -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팔로우 기능 제거 및 플랫폼 정책 변화 https://meetedgar.com/blog/are-hashtags-still-relevant
  8. Ignite Social Media. (2025). "Hashtags in 2025: Are They Still Relevant for Social Media Marketing?" -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팔로우 기능 제거 공식 발표 https://www.ignitesocialmedia.com/social-media-marketing/hashtags-in-2025-are-they-still-relevant-for-social-media-marketing/
  9. Social Media Today. (2025). "Instagram Shares Algorithm Insights To Inform Strategy" - 인스타그램 CEO 아담 모세리의 2025년 알고리즘 3대 핵심 요소 공식 발표 https://www.socialmediatoday.com/news/instagram-shares-algorithm-insights-2025/738034/
  10. Mentionlytics. (2025). "How to Use Hashtags on Instagram the Right Way in 2025" -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3-5개 권장 및 키워드 중심 전략 https://www.mentionlytics.com/blog/how-to-use-instagram-hashtags-ultimate-guide/

Q&A

Q1: 태그와 해시태그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

A1: 태그는 주로 블로그나 웹사이트에서 콘텐트를 분류하고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돕는 '정리 시스템'이며, 해시태그는 소셜 미디어에서 콘텐트를 확산하고 실시간 대화에 참여하는 '광장에서 외치는 소리'다.

Q2: 블로그에서 해시태그를 사용하면 안 되는가?

A2: 블로그에서는 해시태그가 검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본문 내에 해시태그를 남발하기보다는 일반 태그 기능을 활용하고 자연스러운 문장 속에 키워드를 배치하는 것이 SEO에 더 효과적이다.

Q3: 인스타그램에서 해시태그는 몇 개가 적당한가?

A3: 인스타그램에서는 3~5개를 권장하지만 콘텐트와 관련성 높은 해시태그를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Q4: 태그와 해시태그를 잘못 사용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A4: 블로그에서는 검색 노출 순위가 하락할 수 있고 소셜 미디어에서는 콘텐트의 도달률이 감소하거나 알고리즘에 의해 패널티를 받을 수 있다.

Q5: AI 검색 시대에도 태깅 전략이 중요한가?

A5: 그렇다. AI 시대에도 콘텐트의 명확성, 관련성, 일관성, 적절성을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태깅 원칙은 콘텐트의 가치를 높이고 이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